여러 대학에 흩어져 있는 신기술 분야 교육 자원을 공동 활용하고 산업체·연구기관·학회·민간기관 등이 참여해 국가 수준의 핵심인재를 양성하는 협력체계를 구축
희망하는 학생은 누구가 참여할수 있고, 대학은 핵심공유대학의 새로운 사업에 대한 신기술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인재를
양성합니다
또한 산업체는 신기술 분야 핵심인재를 충원하고 재직자 재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환자 맞춤형 신약 및 의료 서비스의 개발과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등 IT와의 융합 추세는 타 산업 분야 기업의 바이오 시장진입을 가속화시키는 중이고 이러한 산업 변화는 기업 현장이 요구하는 직무역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우리가 위치한 지금은 혁신과 변화를 준비해야할 시대입니다
국내 바이오산업 통계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바이오산업 수급규모는 총 12조 1817억원으로 최근 3년간 연평균 6.6%씩 증가
데이터 기반 환자맞춤형 신약 및 의료 서비스의 개발, 개인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등 IT와의 융합 추세는 타 산업 분야 기업의 바이오시장 진입을 더욱 활발하게 만들 것으로 예상 이러한 산업 변화는 기업 현장이 요구하는 직무역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고 대응 방안에 대한 고민과 함께 혁신과 변화를 준비해야할 때
바이오헬스 분야 산업 기술인력은 최근 3년간 6.6%씩 증가하였으나 인력수요·공급간 미스매치 또한 타 산업 대비 매우 높은 편, 특히 디지털 바이오헬스 분야의 경우 생명공학 전문지식 등과 데이터 분석능력을 함께 갖춘 융합 인력이 필요함에 따라 인력수급에 애로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 2018년 대비 2028년까지 연구개발 1만24명, 생산기술 7261명 구매·영업·시장조사 3370명, 설계·디자인 1587명 등의 순으로 많은 인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
이 외에도 개인용 헬스케어 기기, 현장 진단 휴대형 기기, 지능형 건강관리 서비스 등에 대한 이해를 갖춘 구매·영업·시장조사 직무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열린 교육기회
메타버스(Metaverse) 진료의 등장 / 미래지향적 진료로 한 걸음
이해와 통찰 그리고 디자인 / 경영 / 크리에이터
막연한 꿈이 이루어질 차례 / 빠른성장 / 데이터분야와의 접목 / 엔지니어
빠른성장 / 스타트업 / 창업자지원확대